



수련교육이 끝나고 나면 다음과 같은 역량을 획득하고 적절하게 수행할 수 있다.
소아심장내과 | 소아심장외과 |
---|---|
1) 선천성 심장병 환자를 적절하게 진료 2) 후천성 심장병 환자를 적절하게 진료 3) 응급 심장병 환자를 적절하게 진료 4) 중환자실의 심장병 환자를 적절하게 관리 5) 부정맥 및 전도 이상 환자를 적절하게 진료 |
1) 단순 선천성 심장 질환의 수술 2) 중간 복잡 심장 질환의 수술 3) 복잡 심장 질환의 수술 - 상기 수술의 집도 능력의 획득은 필수 사항은 아님 4) 선천성 수술 중환자의 관리 |
6) 진행성 또는 말기 심부전 또는 말기 폐고혈압 환자를 적절하게 관리하고 체외 막 산소 공급, 심실 보조 장치 및 심장 이식 수술 등을 | |
적절하게 전문가에게 의뢰할 수 있다. | 적절하게 시행할 수 있다. |
[공통역량] | |
7) 심장자문의 역할 수행 8) 정기 학술회의를 통한 전문역량 함양 9) 전문직업의식 및 의사소통 능력의 함양 10) 연구자 및 교육자 역량 함양 |
수련 내용 | 기준 |
---|---|
연수교육 및 실습 (학술대회참석) |
수련 기간 중 대한소아심장학회에서 주관하는 연수 강좌, 실습교육 및 학술대회를 통해서 연간 10평점 이상 취득. • 1년차 전임의 연수강좌 이수 (필수) (필수: 아래 1*,2*,3* 중 연간 하나 이상 포함) 1* 대한소아심장 춘계 학술대회 2* 대한 심장학회 추계 학술대회 3* Update 심포지움 4. 대한흉부외과학회 춘/추계 학술대회 5. 소아심장학회 추계 연수강좌 (대한소아청소년과 추계학술대회 제2일 satellite symposium) 6. 심전도 연수강좌 7. 심초음파 연수강좌 8. 가와사끼병 심포지움 9. 폐동맥 고혈압 심포지움 10. 성인 선천성 심장병 학회 11. Omnitact conference(증례교육/심화교육) 집담회 |
학술대회발표 | 인정학회의 학술대회에서 제 1 발표자로서 1회 이상 구연 발표, 또는 2회 이상 포스터나 지상 발표. |
논문제출 | 제 1 저자로서 1편 이상의 논문(원저 또는 증례보고)을 게재하거나 게재 승인을 획득 |
진료 환자 | 1) 입원환자 진료 50명 이상(병동/중환자실 포함) 2) 응급실 환자 10명이상 (내과계) 3) 타과 자문 진료 20건 이상 [소아청소년 심장 내과학 분야]
• 비관혈적 검사
[소아청소년 심장 외과학 분야]① 심초음파: 100건 이상 수행 ② 심전도 50건 이상. ③ 운동부하검사: 10건 이상. ④ 24시간심전도: 10건 이상. ⑤ 기립경사검사: 5건 이상. ⑥ 24시간 혈압: 5건 이상 판독 • 관혈적 검사(심도자술, 심혈관조영술) 10건 이상
• 심장 수술 (참여/수행)
① 심폐기 사용하지 않은 수술: 20건/2건 이상. ② 심폐기를 사용한 수술: 50건/2건 이상. ③ MCS(Mechanical Circulatory Support): 5건 /1건 이상 ④ 심폐기 운용을 위한 캐뉼러삽입: 5건 수행 |
교육 내용 | (1) 대한소아심장학회 세부전문의로서 갖추어야 할 전문 지식
가. 심장 해부학, 심장 생리학 및 심장 병리학
(2) 대한소아심장학회 세부전문의로서 수행하여야 할 전문적인 진찰, 검사, 치료 및 수술* 나. 선천성 심장병 (* 성인 선천성 심장병포함) 다. 후천성 심장병 라. 심부전 마. 부정맥 및 전도이상 바. 고혈압 사. 폐동맥 고혈압 아. 가와사끼병 자. 소아청소년의 기타 심장 관련 질환 (* 소아청소년 심장 외과학 분야) (3) 전문적인 심장 검사 및 시술의 수행 또는 판독 능력
가. 심혈관계 진단검사의학 검사에 대한 이해와 임상적용
(4) 의료직업전문성 (professionalism) 함양
나. 심혈관계 영상의학 검사에 대한 이해와 임상적용 (흉부X선, 심장 CT, MRI, 핵의학 검사 등) 다. 심초음파 검사 라. 부정맥 및 전도 이상 검사 마. 심도자 및 심혈관 조영술, 중재적 시술 사. 심장 생검 아. 심낭 천자 자. 소아전문 심폐소생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