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아청소년 심장 세부분과 전임의 연차별 기준 [신설] |
|
|
연차 |
구분 |
내용 |
필수 |
권장 |
1년차 |
진료 |
내과 |
심장초음파 수행: 100건 이상 |
V |
|
심전도 판독: 50건 이상 |
V |
|
운동부하검사 판독: 10건 이상 |
V |
|
24시간심전도감시검사 판독: 10건 이상 |
V |
|
기립경사검사 판독: 5건 이상 |
V |
|
24시간 혈압 판독: 5건 이상 |
V |
|
심도자 및 심혈관조영술: 10건 이상 |
V |
|
외과 |
심폐기 사용하지 않은 수술: 참여 20건/수행 2건 이상 |
V |
|
심폐기 사용한 수술: 참여 50건/수행 2건 이상 |
V |
|
MCS(Mechanical Circulatory Support): 참여 5건/수행 1건 이상 |
V |
|
심폐기 운용을 위한 캐뉼러삽입: 5건 수행 |
V |
|
타과 심장관련 협진 자문가능 |
|
V |
심페소생술 시행 가능 |
V |
|
심낭천자술 시행 가능 |
V |
|
심초음파 시행 가능(내과계) |
V |
|
심도자술 시행 가능(내과계) |
|
V |
심혈관계 영상의학 검사의 이해와 임상적용 |
|
V |
심혈관계 진단검사의학 검사의 이해와 임상적용 |
|
V |
심혈관계 약물의 이해와 임상적용 |
|
V |
선천성 심장병의 병태생리 이해와 관리 |
V |
|
선천성 심장병의 수술 전후 병태생리의 이해와 관리 |
V |
|
후천성 심장병의 병태생리 이해와 관리 |
V |
|
소아 청소년 심부전의 병태생리 이해와 관리 |
V |
|
소아 청소년 부정맥 및 전도 이상의 이해와 임상적 적용 |
|
V |
진행성 또는 말기 심부전의 이해와 임상적 적용 |
|
V |
폐고혈압의 병태생리 이해와 관리 |
|
V |
고혈압의 병태생리 이해와 관리 |
|
V |
가와사끼병 환자의 진단과 치료 |
|
V |
연구 |
소아/선천성 심장 관련 연구자료 해석 |
|
V |
소아/선천성 심장 관련 자료 수집 및 분석 |
|
V |
인정학회 학술대회 초록제출 및 발표 1회 이상(구연, 포스터) |
V |
|
소아/선천성 심장 관련 논문 작성 1회 이상 |
|
V |
교육 |
전공의 및 실습학생 교육 |
|
V |
연 4회 이상 원내 학술회의 저널 및 증례 발표 |
V |
|
2년차 |
진료 |
* 1년차 과정에 추가 |
|
|
타과 심장관련 협진 자문가능 |
V |
|
MCS(Mechanical Circulatory Support)에 대한 이해 및 관리 |
|
V |
체내삽입형 전기장치 원리의 이해와 임상적용 |
|
V |
전기생리학적검사 및 도자절제술의 이해와 임상적용 |
|
V |
선천성 심장병 중재술 시행 가능(내과계) |
|
V |
심혈관계 영상의학 검사에 대한 이해와 임상적용 |
V |
|
심혈관계 진단검사의학 검사에 대한 이해와 임상적용 |
V |
|
심혈관계 약물의 이해와 임상적용 |
V |
|
선천성 심장병 환자의 진료 |
|
V |
후천성 심장병 환자의 진료 |
|
V |
부정맥 및 전도 이상 환자의 진료 |
|
V |
진행성 또는 말기 심부전 환자의 진료 |
|
V |
폐고혈압 환자의 진료 및 관리 |
|
V |
고혈압 환자의 진료 및 관리 |
|
V |
심장병 응급 환자 진료 및 관리 |
|
V |
연구 |
심장병 중환자 진료 및 관리 |
|
|
소아/선천성 심장 관련 자료 수집 및 분석 |
|
V |
임상시험 관련 의학연구윤리교육 이수 |
|
V |
순환기 관련 연구자료 해석 |
|
V |
인정학회 학술대회 초록제출 및 발표 1회 이상(구연, 포스터) |
V |
|
소아/선천성 심장 관련 논문 작성 1회 이상 |
|
V |
교육 |
전공의 및 실습학생 교육 |
|
|
1년차 전임의 교육 |
|
V |
연 4회 이상 원내 학술회의 저널 및 증례 발표 |
V |
|